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노숙자 전수조사 실효성 의문…LA카운티 20일까지 3일간

LA카운티 내 정확한 노숙자 숫자 집계를 위한 전수조사가 최근 시작됐다. LA노숙자관리국(LAHSA)은 당초 지난달로 계획했던 이번 조사를 산불 사태로 연기해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진행한다고 밝혔다. LAHSA 측은 노숙자 규모의 파악과 현재까지 시행된 노숙자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부정확한 집계 방식, 노숙자 수를 세는 자원봉사자 부족 등으로 인해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LAHSA에 따르면, 전수조사는 매일 저녁 8시부터 시작된다. 자원봉사자 3~4명이 한 조를 이뤄 배당받은 구역을 돌며 노숙자 숫자를 직접 세는 방식이다. 자원봉사자는 정확한 집계를 위해 노숙자 캠프, RV 등 노숙자 거주지를 찾아 해당 장소의 노숙자 수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러한 규칙이 잘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LAHSA의 노숙자 전수조사에 동참했던 LA한인회 관계자들에 따르면 규정 준수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크다는 것이다. LA한인회 제프 이 사무국장은 “자원봉사자들이 노숙자 텐트나 RV 숫자는 파악하지만, 그 안에 실제로 몇 명이 거주하는지는 확인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전수조사를 통해 집계된 숫자보다 실제 노숙자 수가 더 많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지난해 자원봉사자로 참여했다는 강 모씨도 “텐트 안에 노숙자가 몇 명 있는지 세는 건 안전 문제로 사실상 불가하다”며 “그렇기 때문에 매년 발표되는 숫자는 정확한 통계가 아닌 추정치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전수조사 방법에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 사무국장 역시 이에 동의했다. 그는 “조사를 위해 무턱대고 텐트나 RV를 열 수는 없다”면서 “물이나 음식 등을 제공하며 이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사무국장은 “한인회 차원에서 당국에 여러 차례 이같은 보완책을 제시했지만, 아직 시정되지 않았다”며 “자원봉사자들이 움직이는 경로를 중심으로 경찰 순찰이 강화되기는 하지만, 늦은 시각에 집계가 진행되는 만큼 자원봉사자들의 안전에도 각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노숙자 수 집계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 숫자도 절대 부족이다. 이번 전수조사를 위해 LAHSA 측이 필요로 하는 자원봉사자는 총 7929명이지만 18일 오후 3시 현재 등록된 자원봉사자는  4726명에 불과했다. 목표 인원보다 40%나 부족한 상황이다. 다만, 한인타운이 포함된 윌셔-코리아타운 지역은 목표(60명) 대비 93%의 등록률을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한편, LAHSA는 여름 이전 전수조사 결과 발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길거리에서 집계한 숫자와 보호소 거주자를 합해 최종 노숙자 숫자를 산출한다. 이후 USC 사회복지대(School of Social Work)를 통해 종합 보고서를 작성, 노숙자 실태와 정책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경준 기자전수조사 la카운티 노숙자 전수조사 노숙자 숫자 노숙자 텐트 미국 캘리포니아 가주 엘에이 로스앤젤레스 LA뉴스 한인 뉴스 미주 한인 한인 LA중앙일보 김경준

2025-02-18

LA 한인타운 노숙자 435명…LA카운티 4.1% 소폭 증가세

팬데믹 동안 우려와 달리 LA지역 노숙자는 크게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LA노숙자관리국(LAHSA)이 8일 발표한 ‘2022년 노숙자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LA카운티 전역의 노숙자 수는 6만9144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0년(6만6433명)에 비해 4.1% 증가한 수치다.     LA카운티 노숙자 중 절반이 넘는 4만1980명(60%)가 LA시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4만1290명)과 비교해 1.7% 늘어났다.     LAHSA는 매년 1월 전수조사를 통해 LA카운티 일대의 노숙자 현황을 파악해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의 경우 코로나19 상황으로 취소됐다.     2년 만에 실시된 노숙자 전수조사는 코로나19 상황으로 노숙자가 급증했을 거란 우려와 달리 이전 조사보다 오히려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2020년 당국이 집계한 LA카운티와 LA시 지역 노숙자는 전년도인 2019년보다 각각 12.7%와 14.2% 증가했다. 2018년보다는 25% 정도 각각 증가했다.     LAHSA는 이에 대해 팬데믹 기간 시행된 연방 및 주 정부의 실업 구제, 임대료 지원 및 퇴거 유예, 노숙자 셸터 확대 등이 노숙자 증가를 억제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LA한인타운 내 노숙자는 435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조사보다 15% 감소한 수치로, 이 중 418명(96%)이 거리에서 살고 있었다.   한인타운을 포함한 10지구의 경우 노숙자는 1671명으로 지난 조사보다 13.4% 감소했다.     인종별 분포를 보면 흑인이 52%로 가장 많았고 이어 히스패닉 35% 백인 11% 아시안 1% 순이다. 18세 이상 미성년자는 94명(6%)으로 지난 조사보다 7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구별로 봤을 때 노숙자 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곳은 3지구였다. 우드랜드힐스, 레시다, 위네카 등이 있는 LA 북부의 3지구는 지난 조사보다 80.4% 늘어난 1270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가장 큰 감소세를 보인 곳은 퍼시픽 팰리세이즈, 브렌트우드, 마리나델레이 등이 있는 11지구로 38.5% 감소한 2012명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노숙자 10명 중 7명이 노숙자 셸터가 아닌 거리에 방치돼 있다는 점이다.  LA카운티의 노숙자 셸터에서 거주하는 노숙자들은 2만596명으로 전체의 29.7%에 그쳤다. 나머지 4만8548명이 거리에서 사는 셈이다.     또한 전체 노숙자 중 약물중독에 빠진 경우는 26%, 정신질환을 앓는 노숙자는 25%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가정폭력을 피해로 노숙자가 된 경우도 8%로 집계됐다. 장수아 기자한인타운 la카운티 la카운티 노숙자 노숙자 전수조사 노숙자 증가

2022-09-0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